한·중·일 정상회의를 통해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번영이 우리의 공동 이익이자 책임이라는 사실을 재확했다며 또 한국은 한반도 비핵화, 일본은 납치자 문제를 중국은 역내 평화와 안정 유지를 강조했다.
한·중·일 정상은 27일 공동선언에서 “우리는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번영이 우리의 공동 이익이자 공동 책임이라는 것을 재확인했다”며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노력을 지속하기로 한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3국 정상회의를 갖고 이러한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한·중·일은 또 “우리는 역내 평화와 안정, 한반도 비핵화, 납치자 문제에 대한 입장을 각각 재강조했다”고 밝혔다.
공동선언에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한 3국의 합의문 대신 ‘각각’의 입장을 강조했다는 내용이 실린 것이다. 여권 관계자는 “정상회의에서 한국이 ‘한반도 비핵화’, 중국이 ‘역내 평화와 안정’, 일본이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각각 강조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한·중·일 정상회의 후 기자회견에서도 윤 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고, 기시다 총리는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안정이 3국에 공동 이익” “납치 문제의 즉시 해결”을 언급했다. 리 총리는 북한이나 비핵화에 대한 직접적 언급 대신 “한반도 평화 안정 유지”를 강조했다.
공동 선언과는 별도로, 윤 대통령은 이날 리 총리와 별도 환담을 통해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글로벌 핵비확산 체제 유지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김수경 대변인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 함께 탈북민 문제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리 총리는 “중국이 그동안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정세 안정도 중요하다고 본다”며 “한국 측의 우려를 잘 알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소통해 나가자”고 했다.
한·중·일은 이날 3국 정상회의를 다시 정례화하기로 했다.
3국은 공동선언에서 “3국 정상회의와 장관급 회의의 정례적 개최를 통해 3국 협력의 제도화 노력을 경주하고, TCS(3국협력사무국)의 역량 강화를 계속해서 촉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4년 5개월 동안 중단됐던 3국 정상회의를 정례화하면서 3국 협력 체제의 복원과 정상화에 합의한 것이다.
'정치,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홍근이 김호중을 비유로 대통령을 비난했는데 그럴 자격이 있는가? (0) | 2024.05.29 |
---|---|
한·중·일 정상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상호호혜적 FTA 실현한다. (0) | 2024.05.28 |
김혜경과 비서가 짜고서 증거인명 허위증언을 하는데 왜 구속이 아닌가? (2) | 2024.05.28 |
북한 좌익 공산당 놈들은 찌사빤스다. (2) | 2024.05.28 |
윤석열 대통령 日 총리에게 라인야후 사태 잘 관리해나갈 필요 있다.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