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

임종석 북한과 자유통일 없이는 행복하게 살 수가 없다.

도형 김민상 2024. 9. 24. 17:31
728x90

임종석이 대통령 비서실장을 했으니 우리나라 국가기밀은 이미 북한에 다 넘어갔다고 추정된다 한반도 통일을 봉인하고 두 국가 체제로 살면서 평화롭게 오고 가며 협력하자는 게 뭐가 잘못이냐는데 통일없이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이 이상적이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23일 “이상에서 현실로 전환하자”며 최근 자기가 제기한 ‘두 국가론’을 거듭 주장했다.

 

임 전 실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가치와 지향만을 남긴 채 통일을 봉인하고 두 국가 체제로 살면서 평화롭게 오고 가며 협력하자는 게 뭐 그렇게 어려운 얘기인가”라며 이같이 적었다. 임 전 실장은 지난 19일 9·19 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 기조연설에서 “통일하지 말자”며 “객관적 현실을 받아들이고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고 주장했었다.

 

이를 두고 여권에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적대적 두 국가론’에 호응하는 것이냐고 비판했고, 야권 일각에서도 부적절한 주장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그러나 임 전 실장은 “통일을 얘기해도 좋을 만큼 평화가 정착되고 교류와 협력이 일상으로 자리 잡은 후에 미래 세대가 판단하자는 게 이상한가”라고 했다.

 

임 전 실장은 그러면서 “지금 윤석열 정부야말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적대적 두 국가’에 정확하게 동조하고 있다”며 “양쪽 모두 상대를 공공연히 주적이라 부르고 일절 대화 없이 대립과 갈등으로만 치닫고 있으니 이를 ‘적대적 두 국가’ 상태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임 전 실장은 “상황을 바꾸려는 전략적 노력 없이는 지금의 상태는 악화할 것이고, 윤석열 정부 임기 말쯤엔 적대적인 두 국가는 상당히 완성돼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임 전 실장은 또 “민주당이 다시 집권하면 예전처럼 남북 간 대화가 재개되고 비핵화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생각도 대단한 오산”이라며 “평화 공존과 협력을 위한 프로세스는 훨씬 더 복잡해졌다”고 했다.

 

그는 “미국 대선 후 어느 정부가 들어서든 북미 대화가 진행되면 한국은 설 자리가 없게 될 것”이라며 “오랜 고민을 축적해 용기를 내 발표한 것으로, 건강한 논의를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