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

진영대결로 변질된 교육감 선거 이제 러닝메이트나 대통령 임명제로 가자.

도형 김민상 2024. 10. 17. 18:49
728x90

사람·정책도 모르는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국민 세금 565억원이 투입되었는데 서울시민들의 최종 투표율은 23,5%에 그쳤다 서울시민 23.5% 투표로 뽑은 교육감이 대표성이 있는가? 이제 직선제 폐지하고 러닝메이트나 대통령 임명제로 가자.

 

16일 열린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 최종 투표율은 23.5%에 그쳤다. 이날 함께 치러진 부산 금정구청장, 인천 강화군수, 전남 영광군수·곡성군수 등 4개 기초단체장 선거 투표율(53.9%)의 절반에도 못 미친 것이다.

 

조희연 전 교육감의 직위 상실로 인해 열린 이번 선거의 투표율은 과거 교육감 선거에 비해서도 유독 낮았다. 2014년 지방선거 때 치러진 교육감 선거 투표율은 58.6%였고, 2018년, 2022년에도 각각 59.9%, 53.2%를 기록했다. 

 

이번과 마찬가지로 교육감 선거가 단독으로 치러진 작년 4월 울산시교육감 보궐선거(26.5%) 때보다도 투표율이 더 낮은 것이다.

 

서울시교육감은 유치원부터 초·중·고까지 학생 84만명을 관할하고, 공립학교 교사와 교육공무원 5만여 명의 인사권을 행사한다. 연간 서울시교육청 예산만 11조원이 넘는다.

 

이처럼 권한이 막강한데도 투표율이 낮은 것은 교육감 선거가 원래 학부모가 아니면 유권자 관심이 높지 않은 데다 선거가 평일에 열린 탓으로 분석된다. 주요 언론사가 실시한 여론조사도 없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토론회조차 제대로 열리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누가 출마했는지, 후보의 교육 공약은 무엇인지도 잘 모르고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가는 경우가 허다해 ‘깜깜이 선거’라고도 불린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투표율이 20%대에 그치면 조직을 동원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쪽이 유리해지기 때문에 국민 대표성은 사라진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