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

특검 좋아하는 野 김정숙 옷과 장신구 값으로 4억 지출 왜 특검 추진 않나?

도형 김민상 2025. 5. 4. 18:31
728x90

특검 좋아하는 민주당아 김정숙 옷값 180벌 장신구 등으로 지불한 금액이 4억원에 가깝게 추산된다는데 이런 것은 왜 특검을 하지 않고 정적의 아내만 특검을 추진하는 짓을 속보이게 하는가? 국힘은 지금이라고 김정숙 옷값 특검 추진하라!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값 출처’를 수사 중인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문 정부 청와대가 이른바 ‘관봉권(官封券)’을 통해 옷값을 치렀다는 진술 및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2일 전해졌다. 

 

관봉권은 조폐공사가 한국은행에 신권을 보낼 때 액수나 화폐 상태 등에 이상이 없다는 것을 보증한다는 의미로 띠지를 두른 뭉칫돈이다. 정부·금융 기관 간 거래에만 사용되고 개인은 수령이 불가능하다.

 

당시 청와대는 김 여사 옷값 의혹에 대해 “특활비 등 정부 예산을 사용한 적이 없고 전액 사비로 부담했다”고 했었다. 하지만 경찰은 청와대가 특활비 등 국가 예산으로 김 여사 옷값을 치렀다는 진술 등을 확보한 뒤, 청와대 특활비 사용 내역 등이 보관돼 있는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압수 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집행 중이다.

 

조선일보는 최근 의류 업체·관계자들을 접촉해 문 정부 당시인 지난 2021년 11월 7일 김 여사 측이 옷값을 치를 때 사용했던 관봉권 다발 및 김 여사 의류 구매 리스트, 매장 단말기 사진 등을 확보했다. 한 유명 의류 업체 테이블 위에 올려진 5만원권 다발이 ‘한국은행’이라고 적힌 띠지에 둘러져 있었다. 200만원이 넘는 재킷, 100만원에 가까운 바지 등은 모두 김 여사를 위한 ‘맞춤 의상’이었다. 

 

경찰은 작년부터 김 여사에게 옷·장신구를 판매했던 업체들에 대한 압수 수색을 벌여 김 여사 측이 관봉권으로 최소 1200만원을 결제했다고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정부 5년간 김 여사가 이 업체들로부터 구매한 의료 및 장신구는 4억원에 가깝다고 추산하고 있다. 이 중 경찰이 압수 수색 등을 통해 실제 확인한 금액은 약 1억원이다.

 

◇코트 258만원·재킷 178만원… 카드로 샀다더니 ‘관봉권’으로 결제

 

‘벨벳 트리밍 코트 258만원, 헤링본(V자 모양 무늬 짜기를 한 천) 재킷 178만원, 카브라 슬랙스(밑단을 접은 바지) 88만원, 블라우스 88만원….’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작년부터 김 여사에게 옷·장신구 등을 판매했던 업체들에 대한 압수 수색 및 관계자 조사 등을 진행해왔다. 그 결과 경찰은 청와대가 2021년 6월부터 그해 12월까지 서울 청담동의 한 국내 유명 브랜드 ‘M’ 숍에서 세 번에 걸쳐 3900만원 상당의 의류를 구매했다는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중 김 여사 측이 ‘관봉권’으로 결제한 금액은 최소 1200만원이다. 

 

청와대는 그간 “정부 비용으로 옷값 등 사적 비용을 결제한 적이 없다” “옷값은 카드로 구매했다”고 해왔다. 그러나 경찰은 김 여사 측이 국가 예산으로 편성되는 특수활동비로 옷값을 결제했다는 전직 청와대 직원들의 진술을 확보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특활비 사용 내역이 보관돼 있는 대통령기록물 압수 수색을 진행 중이다.

 

조선일보가 입수한 김정숙 여사 옷값 구매 내역 리스트엔 258만원 상당의 코트와 178만원 상당의 재킷, 78만원 상당의 바지, 68만원 상당의 실크 블라우스 등이 적혀 있다. ‘수선비 X’ ‘속치마 증정(무료)’이라는 문구도 있었다. 경찰도 이 자료를 확보해 업체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 측이 이 업체에서 결제한 총 금액은 3958만원이다.

 

구매 내역이 적힌 매장 컴퓨터 화면엔 김 여사를 위한 ‘맞춤 의상 제작’이라는 문구와 함께 고객명 ‘김정숙’ 애칭 ‘영부인-양○○씨’ 등이 적혀 있었다. 프랑스 국적의 양씨는 김 여사 단골 디자이너의 딸로, 2017년 청와대에 채용돼 5년 가까이 총무비서관실 행정요원으로 일했다. 

 

김 여사의 의상·의전을 맡았던 양씨는 그 기간 부친의 해외 브랜드 사업에도 관여해 특혜 채용·불법 겸직 논란이 일었었다. 경찰은 김 여사가 양씨 아버지 업체에서도 수차례 의류를 구입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는 ‘관봉권’을 사용했던 M 브랜드 의류를 문재인 전 대통령 해외 순방 등에 수차례 착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여사는 2021년 6월 문 대통령의 G7(7국) 정상회의 순방에 동행해 이 브랜드의 재킷과 치마를 입었다. 당시 일부 언론은 ‘젊고 경쾌한 이미지’ ‘요즘 젊은 여성들이 즐겨 입는 세련된 패션’이라고 했다. 

 

그해 11월 G20(20국) 정상회의 등 유럽 순방 당시 이탈리아 로마 한글학교를 방문해 이 브랜드 옷을 입었다. 순방이 끝난 뒤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 도착했을 때도 이 브랜드의 투피스 정장을 입었다.

 

경찰은 또 ‘유모 전 제2부속실 비서관과 양씨가 김 여사 옷값 등을 치르기 위해 특활비를 100만~200만원씩 청구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 전 비서관과 양씨는 문 전 대통령 딸 다혜씨에게도 현금을 송금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아왔다. 

 

경찰은 이후 청와대 특수활동비 내역이 비공개로 봉인된 대통령기록물과 대조해봐야겠다고 판단, 지난 3월 12일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압수 수색 영장을 신청해 발부받았다.

 

경찰은 M 브랜드를 포함해 유명 양장·한복·구두점 등 10여개 브랜드에 대한 압수 수색 및 조사 등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경찰 조사에서 “김 여사 측이 영수증 처리 없이 전액 현금으로 옷·구두 값을 치렀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김 여사 옷값 논란이 불거졌던 2022년 3월 탁현민 당시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김어준씨 라디오 방송에 나와 “특활비 의혹은 명백한 가짜 뉴스”라며 “옷값은 카드로 구매했다”고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