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이슈 만평

의료계에서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석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도형 김민상 2024. 9. 12. 16:39
728x90
의료계가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석하지 않으면 의사들이 악마화가 될 것이란 의료계의 우려의 여론이 있다는 것이다. 4자 협의체에 의사들이 일단 들어가야 한다는 주장이 대거 나왔다는 것이다. 이어 현 의협회장은 의사들의 대표성 없다고 사퇴 주장이 나왔다.
 
의료대란을 해결하기 위해 2026년 의대증원 원점 검토를 전제로 '여·야·의·정 4자 협의체' 구성에 시동이 걸렸지만 의료계 불참으로 무게가 쏠린다. 당장 2025년 증원 조정 또는 철회가 없다면 대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기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의사들은 누군가 총대를 메고 4자 협의체에 의료계도 참여해야 국민적 비판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다. 이대로면 환자-의사 신뢰 결여가 심각한 문제로 확장되고 정부 책임론이 아닌 '의사 악마화'로 여론이 바뀐다는 이유에서다.
 
9일 뉴데일리가 다수의 의료계 대표, 의대 교수, 개원가 등에 의견을 문의한 결과, 각 단체들이 발표한 '2025년 조정 또는 철회, 유예 없이 참여 거부' 성명과 달리 일단 4차 협의체 들어가야 한다는 주장이 대거 나왔다.
 
4차 협의체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료계 대표 A씨는 "의협회장이 있는데도 현재 총대를 멜 사람이 없다. 밀어붙이기식의 의대증원을 반대는 당연하지만 계속 대화 참여도 거부하게 되면 국민적 신뢰를 잃게 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누구라도 나서야 2026년 의대증원 물론 2025년에 대한 의견도 제시할 수 있고 각종 정책에 개입할 수 있겠지만 이조차 없다면 계속 끌려다니는 꼴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개원가 단체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B씨는 "지금 전면에 나서면 부역자 낙인이 찍히게 되는 구조"라며 "이렇게 의사 없이 의료정책을 설계하는 것을 방조하는 게 옳은 일인지 의문이다. 대화라도 해야 더 큰 문제를 막을 수 있지 않겠냐"고 밝혔다.
 
원로급 의대교수 C씨는 "정부와 논의해서 전공의 수련환경을 비롯해 저수가 문제를 풀기 위해 나서는 것이 급선무이며 일단 대화를 통해 전공의 복귀 통로를 열 방법을 찾고 이를 설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환자가 없으면 의사도 없다는 명제를 잊어서는 안 된다. 의료붕괴가 이어지면 그 탓은 이내 의사 몫이 될 것이며 결국 외국의사 수입을 비롯한 각종 정부 정책이 힘이 얻게 될 것이다. 이를 보고만 있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이 밖에 선배들이 아닌 사태의 당사자인 젊은 의사(전공의, 의대생)에게 전권을 부여해 대화의 당사자로 나설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