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이 주군인 문재인도 재임시 4·19 3번 조조참배를 했다고 하던데 왜 그 때는 조조참배를 했다고 비판을 못하고, 윤석열 대통령이 조조참배를 했다고 비판을 하고 당 대변인은 도둑참배라고 비판을 하는 것인가? 별 꼬라지를 다 보겠다.
4·19 혁명은 자유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한 혁명인데 이재명과 조국이 공식행사에 참석해도 되는 것인가? 이재명은 국회 다수당으로 독재국회를 하겠다는 자이고, 조국은 사회주의자인데 자유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한 4·19 혁명기념일 공식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고 본다.
윤석열 대통령이 4·19혁명 64주년인 19일 기념식 공식행사가 시작되기 두 시간 전인 오전 8시에 서울 강북구의 국립4·19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조국혁신당은 이를 “도둑 참배”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하지만 국가보훈부는 “문재인 전 대통령도 재임 시 3번 조조참배를 했다”며 “이는 역대 대통령들의 일반화된 조문 형식”이라고 설명했다.
김보협 조국혁신당 대변인은 이날 ‘참배마저 혼자 몰래 하는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어디서 많이 본 그림이다.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는 4‧10 총선 때 따가운 여론을 의식해 혼자 몰래 사전투표를 했다”며 “부부는 닮는다고 하더니, 윤 대통령은 김 여사에게 배워 ‘도둑 참배’를 한 것이냐”고 주장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도 ‘조국의 한 마디’를 통해 “오늘 (윤 대통령과의) 첫 악수가 무산되어 아쉽다”며 “윤석열 대통령은 오전 10시에 무엇을 하기에 헌법도 기리고 있는 명예로운 날의 공식기념식에 참석을 하지 않고, 오전 8시에 몇몇 4‧19 단체 관계자를 대동하고 조조참배를 하는가? 그렇게 야당 지도자들을 만나기 싫은가?”라고 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 측은 “4‧19 조조참배는 역대 대통령들의 일반적인 조문형식”이라고 설명했다.
보훈부 관계자는 조선닷컴과의 통화에서 “대통령이 모든 행사에 참석할 수는 없다. 역대 대통령들도 취임 첫해나 의미 있는 해가 아니면 조조참배로 대신해왔다”고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2010년은 4·19혁명 50주년이라 직접 기념식에 참여했지만 51주년인 2011년과 52주년인 2012년은 조조참배로 대신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3년, 2014년, 2016년 조조참배를 했고 2015년엔 해외일정으로 조조참배조차 하지 못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경우는 2020년 4·19혁명 60주년 기념식에는 직접 참석했지만 2018년, 2021년, 2022년은 조조참배로 대신했다. 2019년엔 해외일정으로 조조참배조차 하지 못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당선인 때인 2022년과 취임 후 첫 4·19기념식이었던 2023년에는 기념식에 참석했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특정 당에서 ‘도둑 참배’라고 했는데 그 당 대표가 2018, 2019년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근무하지 않았나. 그 당시 문재인 대통령도 기념식에는 참석하지 않았다”며 “(조 대표도) 청와대 근무를 했기 때문에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치,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당이 국회 삼임위원장 모두 석권하겠다는데 양자회담 뭔 소득 있겠는가? (2) | 2024.04.20 |
---|---|
민주당 22대 당선자들이 거짓말만 믿고 오만무도한 짓을 했다. (2) | 2024.04.20 |
국민의힘 국회의원들 의정 활동에 절실함이 보이지 않는다. (0) | 2024.04.19 |
무소불위 오만극악무도한 민주당 국민들이 심판해야 했다. (0) | 2024.04.19 |
민주당이 文 정권 대 일을 가지고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을 고발했다. (0)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