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등장하니 세상이 많이 변했다. 어떤 영화감독도 하지 못하던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이장호 감독이 만들겠다니 참으로 격세지감이 느껴지지 않는가?
이런 것을 두고 격세지감을 느낀다고 해야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장호 감독이 이승만·박정희 전대통령의 제조명하는 다큐멘터리 하보우만의 약속이라는 영화를 만들겠다고 하였다. 두 분을 둘러싼 괴담을 벗겨 내는 작업을 하겠다는 것이다.
영화 ‘별들의 고향’으로 유명한 이장호(78) 감독이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을 재조명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든다. 이 감독은 6일 본지 통화에서 “두 분을 둘러싼 괴담을 벗겨내는 작업이 관객으로부터 받은 사랑을 돌려드리는 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내년 봄 개봉을 목표로 곧 작업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영화 제목은 ‘하보우만의 약속’. 애국가 가사인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의 줄임말이다. 절대자의 도움이 있었기에 대한민국이 여러 위기를 넘기고 오늘의 성취를 이뤘다는 이 감독의 믿음이 담겼다. 이 감독은 “저도 한때는 두 전 대통령을 독재자라고만 봤다”며 “저처럼 속아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졌던 사람들이 변한 이야기를 많이 담으려 한다”고 했다.
이 전 대통령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된 건 부친 영향이 컸다. 미 군정 때 공보처에서 영화 검열관을 했던 부친은 신익희를 존경하고 톨스토이의 농노해방론을 신봉하는 낭만적 사회주의자였다. 이 감독이 1976년 대마초 흡연으로 활동 정지를 당하면서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반감도 자리 잡았다.
관객 5만명이 들면 공전의 히트작이던 시절, 46만5000명을 동원한 ‘별들의 고향’으로 스타 감독 대우를 받던 때였다. 그때의 경험에 갇혀 있다가 “철이 늦게 들었다”는 것이 이 감독의 설명이다. 함경남도 북청이 원적(原籍)인 이 감독은 북한인권국제영화제의 공동 조직위원장도 지냈다. 지난해에는 자유와 정의, 인권을 주제로 하는 ‘락스퍼국제영화제’의 집행위원장을 맡았다.
‘하보우만’은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다큐멘터리를 만들다가 확장된 작품이다. 그는 “대한민국 역사를 폭넓게 다루려면 탄핵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자료나 인터뷰를 단순 나열하지 않고 컴퓨터 그래픽 등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영화적 감각으로 보여주겠다”고 했다.
극 영화가 아니라 다큐멘터리를 선택한 것 역시 의도적이다. “극 영화로 만들면 일부에서 ‘수구 꼴통이 소설 쓰고 있네’라며 보지도 않고 폄하하지 않겠는가. 두 대통령이 이룬 업적을 오직 역사적인 사실에 입각해서 보여주면 누구라도 감동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감독은 “영화계 일부 후배들이 제 작업을 마뜩지 않게 여길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요즘은 관객을 모으려는 영화에 관심이 많다. 하지만 저는 저의 길이 있다. 제가 영화판에서 쌓은 경험, 관객에게 받은 사랑을 제 방식으로 보답하고 싶다.”
'세상 이슈 만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 결혼하는 사람들 좋겠다. (0) | 2023.07.28 |
---|---|
박원순 아들 박주신이 재 신체감정 법원에서 승인했다. (0) | 2023.07.13 |
드디어 KBS 수신료 분리 징수된다. (0) | 2023.07.06 |
민노총 일본 오염수 방류에 총파업 말이 되는가? (0) | 2023.07.05 |
민노총·전교조·좌익들을 혁파하는 세상은 언제나 올까? (2) | 202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