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주 4.5일 근무제 도입과 주 52시간 근로 규제 폐지를 대선 공약으로 추진한다 주 5일제와 주 52시간 근로 규제는 시대의 흐름과 산업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제도로서 유연한 근로 문화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14일 ‘주 4.5일 근무제’ 도입과 ‘주 52시간 근로 규제 폐지‘를 대선 공약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회의에서 “주 5일제와 주 52시간 근로 규제는 시대의 흐름과 산업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제도로서 유연한 근로 문화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오히려 생산성과 자율성 모두를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주 4.5일제와 관련, 월요일~목요일 나흘 간 하루 기본 근무 시간(8시간) 외에 1시간씩 더 일하고, 그 대신 금요일엔 4시간만 근무한 뒤 퇴근하는 방식을 시범 도입한 울산 중구청의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총 근무 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며 “기존 주 5일 근무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의 실질적인 워라밸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주장하는 주 4일제 및 4.5일제는 근로 시간 자체를 줄이지만 받는 급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으로서 오히려 노동시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며 “법정 근로시간 40시간은 유지하되 유연근로제를 통해 실질적인 주 4.5일제 도입의 이점을 늘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서 대선 공약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또 “업종과 직무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를 방해하는 주 52시간 근로 규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며 “산업현장에서는 일이 몰릴 때 집중적으로 일하고 반대로 일이 적을 때 충분히 쉴 수 있는 유연한 근무 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주 52시간 규제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산업 분야를 면밀히 분석해서 실질적인 제도 개선 방안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주 52시간 근로시간제 유연화와 최저임금 차등 적용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대선 기간에만 관심을 보이는 데 그치지 말고 국민과 중소기업의 현실을 반영해 신속히 국회에서 입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도형의 오늘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산당 인민재판 전원일치 판결하는 헌법재판소 폐쇄가 정답이다. (1) | 2025.04.17 |
---|---|
홍준표 대선 예비후보는 빅텐트에 反이재명 연대와 연정까지 할 수 있다. (0) | 2025.04.16 |
反이재명을 기치로 거국개헌연대 빅텐트를 만들면 우파도 승산이 있다. (1) | 2025.04.14 |
국힘은 대선에서 목적은 수단을 정상화 한다는 정신으로 임해야 한다. (0) | 2025.04.13 |
조기 대선에서 反이재명 세력은 무조건 한 팀으로 뭉쳐야 산다. (1)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