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 때문에 하나로 뭉치지 못한 것이 아니다. 국힘은 어중이떠중이 짬뽕당이라 뭉치지 못하는 것이고 민주당은 좌파의 가치 정당이니 잘 뭉치고, 국힘은 자유민주주의 가치 정당이 아닌 인물 중심이니 잘 흩어진다.
국민의힘이 자유민주주의 가치 중심의 정당이 아닌 인물 중심의 정당이다 보니 인물 따라 쉽게 흩어지고 무너진다. 가치 중심의 정당이면 인물 따라 무너지지 않고 쉽게 흩어지지 않는다.
윤 전 대통령은 17일 국민의힘 탈당을 선언했다. 윤 전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길지 않은 정치 인생을 함께하고 저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만들어 준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국민의힘으로부터 대선에 앞서 절연(絕緣)을 위한 탈당 요구를 받아 왔다. 김용태 신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5일 “윤 전 대통령에게 당과 대선 승리를 위해 결단해줄 것을 요청하겠다”며 탈당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국민의힘 상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인 안철수 의원이 17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국민의힘 탈당에 “결단을 존중한다”며 “이제 정말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처럼 밝혔다. 안 의원은 전날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운신의 폭을 넓히고 중도층으로 외연 확장을 하려면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하루빨리 당적을 정리하는 결단을 내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었다.
안 의원은 “(국민의힘이) 이제 정말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지난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은 김문수 대장선을 따를 때”라며 홍준표 전 대구시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향해 김문수 후보의 선거 유세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안 의원은 “지금 필요한 것은 국민을 위한 헌신, 모두 하나 된 마음과 행동 그리고 ‘필생즉사 필사즉생’(必生則死 必死則生)의 각오”라며 “우리 모두는 절체절명의 마음으로 이재명 후보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납니다”라며 “비록 당을 떠나지만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백의종군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탈당을 선언하자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합류를 미루고 있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다음 주부터 김문수 후보 유세 현장에 합류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국민의힘이 똘똘 뭉치는 정당이 되려면 인물 중심의 정당이 아닌 가치 중심의 정당이 되어야 한다. 자유민주주의라는 가장 좋은 가치를 지키겠다는 사람들로만 같이 하는 정당이 되어야 한 군데로 뭉친다.
국민의힘이 가치 중심의 정당이었다면 2번이나 대통령의 탄핵에 동조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인물 중심이다 보니 개인주의가 팽배하고 자신들이 제일이라고 생각하며 지도부가 조금만 잘못해도 비난부터 하는 콩가루 집안이 되는 것이다.
국민의힘이 한 군데로 뭉치지 못한 것이 정말 윤석열 대통령 때문이었는지 각자는 손을 가슴에 얹고 성찰해보기 바란다. 대통령을 탄핵하는 데 동조한 자들이 진정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탄핵에 동조했다고 할 수 있는지 성찰을 해보면 답이 나올 것이다.
이제라도 똘똘 뭉쳐서 대선에서 승리한 후에 자유민주주의 가치에 반하는 자들은 스스로 국힘에서 탈당하여야 할 것이다. 그것이 당도 살고 개인도 살고 나라도 사는 길이다.
선당후사를 찾지 않고 선민후사를 찾는 한동훈의 가치는 자유민주주의 가치 정당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도형의 오늘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왜 테러첩보 경찰에 수사의뢰 하지 않고 가짜 테러 쇼를 하는가? (4) | 2025.05.17 |
---|---|
민주당이 이재명 방탄법안들 법사위 통과 후 거부권 피해 대선 후로 본회의 통과? (4) | 2025.05.16 |
지금은 이재명 아니고, 이번에도 이번 김문수이다. (3) | 2025.05.15 |
김문수의 당선을 위해 하나님이 기적을 베푸시기를 기도하자. (2) | 2025.05.14 |
민주당에서 김정은처럼 이재명을 신격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인가? (2)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