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방통위원장 공영방송 정상화가 자신에게 맡겨진 사명이다.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과거 노조와 싸우면서 온갖 수모와 고통을 겪었다 저한테는 공영방송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있다. 제가 물러난다면 부정의의 승리를 만들어준다는 예를 남길 것이라 그래서 저는 물러날 수 없다고 했다.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자신이 방통위원장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 사명감을 정확히 알고 있는 분으로 최고의 적임자라 하겠다.
방송통신위원장 직책을 수락하지 않았으면 어땠을까 생각한 적 있습니까.
“없습니다. 우리나라 공영방송이 더는 이래서는 안 됩니다.”라고 말했다.
― 지난 한 달 동안 많은 공격을 받았습니다.
“그럴 것이라고 예상했고 충분히 각오하고 있었습니다.”라고 했다.
― 뉴스에 매일 이름이 거론되기 전에 자진 사퇴할 수 있지 않았습니까.
“과거에 노조와 싸우면서 온갖 수모와 고통을 겪었습니다. 저한테는 공영방송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있습니다. 제가 물러난다면 ‘부정의(不正義)의 승리를 만들어준다’는 예를 남길 겁니다. 그래서 저는 물러날 수 없습니다.”라고 했다.
이진숙(李眞淑) 방송통신위원장(이하 방통위원장)은 담담했다. 그가 지금 이 시점에서 말하고 싶은 것을 요약하면 이 정도일 것이다.
이진숙 위원장의 한 달은 숨 가빴다.
윤석열 대통령은 7월 4일에 대전 MBC 사장을 지낸 이진숙씨를 방통위원장으로 지명했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은 이 위원장이 극우(極右) 성향을 가진 데다 과거에 노조를 탄압했고, 방송을 장악하려 한다며 거세게 반대했다. 이진숙 위원장은 7월 24~26일 인사청문회를 거쳤고, 7월 31일에 방통위원장에 취임했다. 그는 취임 당일에 임기 만료를 앞둔 방송문화진흥회(이하 방문진) 후임 이사를 뽑았다.
민주당은 8월 1일에 이 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했고, 8월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야당 단독으로 통과시켰다. 이진숙 위원장은 취임한 지 이틀 만에 직무가 정지됐다. 방통위원장은 장관급이다. 이 위원장은 장관에 오른 뒤 이틀 만에, 최단 시간에 탄핵 소추된 사람이 됐다.
이진숙 위원장이 국회에서 탄핵당할 정도로 위법(違法) 행위를 했는지에 대한 판단은 헌법재판소(이하 헌재)로 넘어갔다.
헌재는 6개월 안에 이 위원장에 대한 판결을 마쳐야 한다. 이진숙 위원장을 지난 8월 10일에 서울 강남의 모처에서 만났다.
h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2409100013